티스토리 뷰

여러분 안녕하세요? 채니입니다>< 오늘도 제 글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 정말 감사드려요. 일주일 잘 보내셨나요? 요즘 날씨가 꽤 쌀쌀하더라고요ㅠㅠ 여러분 감기 조심하시고 옷 따뜻하게 입고 다니세요:) 우리 지난번에 무슨 이야기 했었는지, 기억이 나시나요? 맞아요, 우리 지난번에는 정전기랑 정전기 유도현상에 대해서 이야기 했었는데요, 오늘은 전류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해요. 그럼, 오늘도 채니와 함께하는 즐거운 과학여행, 떠나볼까요?

 

(지난번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2019/10/29 - [ 즐.과.행 2학년] - 11. 전기력과 정전기 유도 현상

 

11. 전기력과 정전기 유도 현상

여러분 안녕하세요!! 채니입니다>< 일주일 잘 보내셨나요? 벌써 10월도 끝이 보이네요. 지난 시간에 무슨 이야기 했었는지 기억 나시나요? 저번에 우리 전기와 자기 단원 들어가서 마찰 전기, 대전, 대전체..뭐 이..

trip2science.tistory.com

(1학년 내용부터 보고싶다면?)

2019/02/12 - [ 즐.과.행 1학년] - 1.지구계

 

1.지구계

여러분 안녕하세요!!! 채니입니당~ 드디어 오늘, 1단원에 들어가네요. >< 여러분이 중학교에 들어가서 처음 다루게 되는 과학은 지구과학이에요. 지구과학 중에서도 지질학을 다루게 되는데요, 오늘은 지구계에 대..

trip2science.tistory.com

오늘, 전류에 대해서 이야기 할 거라고 했죠? 정지한 전하를 뜻하는 정전기와 달리 전류는 전하의 흐름을 말해요. 다른 전하를 띠고 있는 두 물체나 전하량이 다른 두 물체를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하가 이동해서 전류가 흐르게 되죠. 이렇게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기구들을 도선으로 연결한 것을 전기회로라고 하고, 전기기구를 간단한 기호로 나타내어 선으로 연결한 것을 회로도라고 해요.

회로도

전류는 전지의 (+)극에서 전지의 (-)극 방향으로 흐르고, 전자는 전지의 (-)극에서 (+)극 방향으로 이동해요. 그런데 왜 전류의 방향과 전자의 이동 방향은 반대일까요? 사실 과학자들은 전류를 처음 발견했을 당시에 전자의 존재를 알지 못했어요. 그래서 전류를 전지의 (+)극에서 (-)극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약속을 하였고, 이후 전자가 발견되어 이동 방향이 반대라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전류의 방향은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 거랍니다.

 

전기기구를 나타낸 기호 / 출처 - 구글

전류의 세기는 도선의 단면을 통해 단위 시간당 이동하는 전하량으로 나타내는데요, 단위로는 A(암페어) 또는 mA(밀리암페어)를 사용해요. 1A의 크기는 1초 동안 도선의 단면을 통해 전자 6.25 x 10(18승)개가 통과할때의 전류의 세기랍니다.

 

 

오늘 준비한 이야기는 여기까지에요, 어떠셨나요? 이해가 잘 되셨으면 좋겠어요. 오늘 분량이 좀 적죠ㅠㅠ 분량 잡기가 애매하더라고요..// 다음 시간에는 조금 더 많은 내용을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오늘도 질문이나 느낀 점, 피드백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채니가 답 달아드리도록 할게요. 안녕~!!!!!

'즐거운 과학 여행 2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저항의 연결  (5) 2019.11.19
13. 전압과 전류, 그리고 저항  (6) 2019.11.12
11. 전기력과 정전기 유도 현상  (2) 2019.10.29
10. 전기  (6) 2019.10.22
9. 이온의 앙금 생성 반응(2)  (3) 2019.10.15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