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즐거운 과학 여행 2학년

10. 전기

ChennyShin 2019. 10. 22. 20:00

여러분 안녕하세요, 채니 입니다>< 일주일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새로운 단원에 들어가는 날이에요!! 1과정 마무리하고 중학교 2학년 1단원 들어간 게 엊그제,, 는 아니고 한 일주일 전 같은데 벌써 2단원에 들어가네요. 다 여러분 덕분이 에요. 아시죠? 이번에 들어갈 2단원은 전기와 자기인데요, 이 단원에서는 정전기와 전기 회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고, 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기장에 대해 알아볼 거 랍니다. 재미있겠죠???

 

(지난 시간 내용이 궁금하다면?)

2019/10/15 - [ 즐.과.행 2학년] - 9. 이온의 앙금 생성 반응(2)

 

9. 이온의 앙금 생성 반응(2)

여러분 안녕하세요? 채니입니다>< 일주일 잘 보내셨나요? 저는 곧 체육대회라서 반티도 맞추고,단체 줄넘기, 계주, 줄다리기, 배구 이런 거 연습하는데 너무 재밌어요 ㅋㅋㅋ 자, 이제 잡담은 그만하고, 채니와 함..

trip2science.tistory.com

(중학교 1학년 내용부터 보고싶다면?)

2019/02/12 - [ 즐.과.행 1학년] - 1.지구계

 

1.지구계

여러분 안녕하세요!!! 채니입니당~ 드디어 오늘, 1단원에 들어가네요. >< 여러분이 중학교에 들어가서 처음 다루게 되는 과학은 지구과학이에요. 지구과학 중에서도 지질학을 다루게 되는데요, 오늘은 지구계에 대..

trip2science.tistory.com

출처 - 네이버 이미지

먼저 전기의 발생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 건데요, 우리 1단원에서 원자에 대해서 이야기 했었죠? 원자는 뭘로 이루어져 있었죠? 맞아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죠.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가벼운 전자들이 마찰과 같은 충돌에 의해 이동하여 한 원자 안에서 원자핵의 (+)전하와 전자의 총 (-)전하량이 달라지면, 원자는 전하를 띠게 돼요. 전하, 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근원으로 (+), (-) 두 종류가 있답니다.

 

출처 - 구글이미지
출처 - 구글 이미지

이번에는 마찰 전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게요. 서로 다른 두 물체는 마찰하면 마찰 전기가 발생하여 두 물체가 서로 다른 전하를 띠게 되는데, 이를 정전기라고도 해요. 마찰에 의해 발생한 전기는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고 발생한 자리에 그대로 머물러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죠. 마찰 전기는 마찰 과정에서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생겨요. 전자가 이동하면 물체가 가지는 (+)전하량과 (-)전하량의 균형이 깨져 물체는 전하를 띠게 되는 거죠. 마찰 전기, 그러니까 정전기는 비가 오거나 안개가 낀 날보다, 건조한 날에 잘 생겨요. 우리나라에서는 대기가 건조하고 난방으로 습도가 떨어지는 겨울철에 주로 잘 생긴답니다 자동차 도장(표면에 색을 입히는 것), 복사기, 잉크젯 프린터, 공기 청정기 등에 이러한 정전기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어요.

 

출처 - 네이버 블로그

평상시에 원자는 (+)전하량과 (-)전하량이 같아 전기적으로 중성이고, 이러한 원자로 이루어진 물체도 전하를 띠지 않지만, 대전된 물체는 (+)전하량이나 (-)전하량 중 어느 한 쪽이 크기 때문에 전하를 띠죠. 이렇게 물체가 전하를 띠는 현상을 대전이라고 하고, 전하를 띤 물체를 대전체라고 한답니다. (+)전하량이 (-)전하량보다 큰 물체는 (+)대전체, 반대로 (-)전하량이 (+)전하량보다 큰 물체는 (-)대전체라고 해요. 어떤 두 물체가 서로 마찰하면 물체는 대전되는데, 이때 두 물체는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끌어당겨요.

 

대전에 대해 알았으니 방전의 뜻도 알아야겠죠? 방전이란 대전체가 전기적 성질을 잃는 현상으로, 공기 분자와 대전체 사이에 자연스럽게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 전기적 균형을 이루는 과정을 말해요. 대전열이라는 것도 있는데요, 대전열은 여러가지 물체를 마찰 할 때 전자를 잃기 쉬운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말합니다.

 

               (+) 털가죽 - 유리 - 명주 - 나무 - 고무 - 플라스틱 (-)

 

(+)쪽에 가까울수록 전자를 잃기 쉬우며, (-)쪽에 가까울수록 전자를 얻기 쉬워요. 따라서 같은 물체라도 어떤 물체와 마찰하는지에 따라 물체가 대전되는 전하의 종류가 다르죠. 또한 두 물체가 대전열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대전이 더 잘 된답니다.

 

제가 오늘 준비한 이야기는 여기까지에요. 이해가 되시나요? 열심히 썼는데 어떨지 잘 모르겠어요. 궁금하신 점이나 피드백, 느낀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채니가 최대한 빨리 답 달아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노력하고 있어요 ㅠㅠ) 늘 부족한 글 봐주시는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럼 채니는 다음 주 이 시간에 돌아올게요!! 안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