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오
채니가~돌아~왔습니다!!!!!
진짜 요즘 댓글로 칭찬도 많이 해주시고, 질문도 많이 해주셔서><
빨리 글 올려서 여러분이랑 만나고 싶고 그래요
그럼 오늘도 채니와 함께하는 즐거운 과학여행, 떠나볼까요?
우리 3번째 시간부터~ 지난시간까지!!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오늘은 광물과 토양의 첫번째! 광물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블로그 방문이 처음이라면? 아래링크 클릭!!!!)
2019/02/12 - [채니와 함께하는 즐.과.행 1학년] - 1.지구계
(지난시간 복습이 필요하다면? 아래링크 클릭!!!!)
2019/03/13 - [채니와 함께하는 즐.과.행 1학년] - 5. 지각의 구성-암석-변성암
여러분 혹시 암석을 자세히 들여다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암석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색이나 모양이 서로 다른, 작은 알갱이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암석을 이루고 있는 작은 알갱이들을 광물이라고 하는데요, 광물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볼까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권의가장 바깥 부분인 지각은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암석은 대부분 여러가지 광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암석을 이루는 광물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서 암석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답니다. 밝은 색 광물을 많이 포함한 암석은 색이 밝고, 어두운 색 광물을 많이 포함한 암석은 색이 어둡겠죠?
그리고 지금까지 약 4000여 종류의 광물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ㄷㄷ
그런데요 여러분, 광물이 암석을 이루기는 하는데, 광물이 4000여 종이나 있잖아요, 그럼 더 자주 쓰이는 광물이 있지 않을까요?
출처- 지식백과
바로 그런 광물들, 암석을 이루는 주된 광물들을 조암광물이라고 합니다.
주요 조암광물에는 장석, 석영, 휘석, 각섬석, 흑운모, 감람석 등 20여종이 있어요.
조암광물에서는 장석이 51%로 가장 높은 부피비를 차지하고, 그 다음 석영, 휘석의 순서로 부피비가 크답니다.
위의 표에 나온 조암광물들은 이름을 익혀두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여러분, 여러분 주위의 사람들은 어떤가요? 다 똑같은가요?
아니죠, 사람마다 얼굴형도 다르고, 피부색, 혈액형, 키 등등...모든 것이 달라요.
이렇게 모든 사람들이 다른 것 처럼, 광물도 각각의 특징을 나타냅니다. 여러가지 광물들을 서로 구별할 수 있게하는 광물의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광물들을 서로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특성에는 색, 조흔색, 굳기, 염산반응, 자성 등이 있어요.
먼저 색!
출처-네이버 블로그
색은 말 그대로 광물의 겉보기 색을 의미해요. 그냥 광물을 보았을 떄 보여지는 색을 이야기 하는 거죠.
다음으로 조흔색인데요,
광물의 조흔색/ 출처- 네이버 블로그
조흔색이란, 광물을 조흔판에 긁었을 때 나타나는 광물가루의 색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조흔판은 초벌구이한 자기판을 말해요. 겉으로 보여지는 색과는 다른 색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요, (금과 자철석은 겉보기색과 조흔색이 같아요) 겉보기 색으로 구분할 수 없는 광물들을 조흔판에 긁어보면 조금 더 쉽게 구분할 수 있겠죠? 물론 색이 비슷한 모든 광물을 조흔색으로 구별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석영과 방해석은 모두 무색 투명하며 조흔색이 흰색이거든요.
굳기로도 광물을 구분할 수 있어요. 굳기는 광물의 단단하고 무른 정도를 이야기하는데요, 광물을 서로 긁어서 비교해요. 서로 긁었을 때 긁히는 광물이 긁혀지지 않는 광물보다 무른 것이겠죠?
다음 표는 몇몇광물들의 굳기를 비교한 모스굳기계 라는 표인데요, 한번 외워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CSI과학수사대-과학만화
출처-네이버 블로그
또, 염산 반응으로도 광물을 구별할 수 있는데요,
염산 반응이란 광물에 염산을 떨어트렸을 때, 거품이 발생하는 성질이에요.
반응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구별이 가능하죠.
방해석의 염산반응/출처-비상교육
마지막으로 자성이 있어요. 자성이란 광물이 마치 자석처럼 쇠붙이를 끌어당기는 성질인데요,
클립과 같은 쇠붙이가 붙는가 붙지 않는가를 통해 구별할 수 있겠네요.
자철석의 자성/출처-비상교육
여러분 오늘 이야기는 어떠셨나요? 쉽게 이해가 되셨나요?
저는 지금까지 발견된 광물이 4000여종이라는 점, 또 그 모든 광물의 특성이 다 다르다는 점이 신기했어요.
혹시 궁금하신 점이나 오류, 느낀 점 등이 있으시면 댓글로 달아 주세요!!
그럼 채니는 다음주 화요일 저녁 이 시간에, <광물과 토양> 토양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참고자료-완자, 지식백과, 두산백과
'즐거운 과학 여행 1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지각의 구성-광물과 토양_토양 (4) | 2019.04.02 |
---|---|
7.지각의 구성_광물과 토양_암석의 풍화 (6) | 2019.03.26 |
5. 지각의 구성-암석-변성암 (5) | 2019.03.13 |
4.지각의 구성-암석-퇴적암 (8) | 2019.03.05 |
3.지각의 구성 - 암석- 화성암 (8) | 2019.02.26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