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오~~ 채니에요. 오늘로 벌써 16번째네요, 요즘 사실 조금 글쓰기가 힘들었는데,,, 여러분들이 댓글로 따뜻한 응원도 보내주시구 하트도 눌러주시고,, 아 그리고 이제는 뭐 광물, 생물 이게 아니라 다움이나 줌에다가 채니의 즐거운 과학여행, chenny shin 일케 검색해서 들어오시는 분들도 꽤 계시더라고요><
그럼 오늘도 채니와 함께하는 즐거운 과학여행, Let's Go!!!!!
2019/02/12 - [채니와 함께하는 즐.과.행 1학년] - 1.지구계
1.지구계
여러분 안녕하세요!!! 채니입니당~ 드디어 오늘, 1단원에 들어가네요. >< 여러분이 중학교에 들어가서 처음 다루게 되는 과학은 지구과학이에요. 지구과학 중에서도 지질학을 다루게 되는데요, 오늘은 지구계에 대..
trip2science.tistory.com
2019/05/21 - [채니와 함께하는 즐.과.행 1학년] - 15. 생물 다양성
15. 생물 다양성
여러분 안녕하세요, 채니가 돌아왔습니다 >< 벌써 15번째 시간이네요~ 여러분이 알고 있는 생물에는 무엇이 있나요? 곰, 돼지, 민들레, 개나리, 개미, 강아지, 고양이, 메뚜기… 너무 많아서 차마 세지를 못..
trip2science.tistory.com
여러가지 물건이 있을 때 기준을 세워 정리하면 물건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생물도 기준에 따라 정리하면 생물 사이의 유연 관계, 즉 생물 간의 멀고 가까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요. 생물은 고양이, 호랑이와 같이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도 있고, 식물과 동물 같이 큰 무리로 분류할 수도 있습니다. 생물의 분류체계에 대해 알아볼까요?
생물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 단위는 ‘종’인데요, 종이란 자연 상태에서 짝짓기하여 번식이 가능한 자손을 낳을 수 있는 생물 무리를 말해요. 예를 들어 불테리어와 불도그 사이에서 태어난 보스턴 테리어는 번식능력이 있으므로 불테리어와 불도그는 같은 종이지만, 암말과 수탕나귀 사이에서 태어난 노새는 번식능력이 없으므로 당나귀와 말은 같은 종이 아니라고 볼 수 있는 거죠. 생김새가 비슷하다고 무조건 같은 종은 아니라는 거, 아시겠죠?
생물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단위가 종이었다면, 생물을 분류하는 가장 큰 기준은 ‘계’인데요, 생물의 분류 단계는 총 7단계로, 제일 작은 단위부터 순서대로 종 <속 <과 <목 <강 <문 <계 에요. 기본 단위인 종, 여러 종이 모여서 속을 이루고, 여러 속이 모여서 과를 이룹니다. 또 여러 과가 모여서 목을 이루고, 그 목이 모여서 강을 이루죠. 여러 강이 모여서 문을 이루고, 문이 모여서 계를 이루는 거에요.
고양이로 예를 들어보자면, 고양이는 동물계에 속합니다. 동물계 중에서는 척삭동물문에 속하지요. 척삭동물문 중에는 포유강에 속하고, 또 포유강 중 식육목에, 식육목 안의 고양잇과에 속합니다, 고양잇과 중 고양이속에, 고양이속 안에 고양이가 있는 거죠. 그러니까 고양이는 ‘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고양잇과 고양이속의 고양이’ 인 거랍니다. 작은 분류단위에 같이 속해 있을수록 가까운 관계라고 생각할 수 있어요.
지구상에 살고 있는 다양한 생물은 몇 가지 계로 분류할 수 있을까요? 계 수준으로 생물을 분류할 때 생물은 원핵생물계, 원생생물계, 균계, 식물계, 동물계의 5가지 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이 5가지 계를 ‘생물의 5계’라고 해요. 계의 수준에서 생물을 분류할 때에는 핵막이나 세포벽의 유무, 광합성의 여부, 기관의 발달 정도 등이 중요한 분류 기준이 된답니다. 그럼 이 5가지 계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먼저 원핵생물계!! 원핵생물계는 5계 중에 유일하게 세포에 핵막으로 둘러싸인 핵이 없어요. 나머지 계들은 모두 핵막으로 둘러싸인 핵이 있지요. 원핵생물계는 몸이 한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있는데, 여러 개의 세포가 모여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어서 살기도 해요. 이런 경우 덩어리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세포벽을 가지고 있어요. 여기서 세포벽이란, 세포에서 세포막 바깥을 둘러싼 단단한 벽으로, 세포를 보호하며 세포의 모양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답니다. 또 원핵생물계의 대부분은 광합성을 하지 않지만, 남세균처럼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드는 것도 있어요. 원핵생물계에는 포도상 구균, 대장균, 젖산균 등의 세균이 포함됩니다. 보통 세균은 균계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원핵생물계라는 거!! 잊지마세요 ><
두 번째로 원생생물계!! 원생생물계는 핵(핵막)이 있는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 중 균계, 식물계, 동물계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생물들을 모아 놓은 무리에요. 대부분이 단세포 생물이지만, 다세포 생물도 있답니다. 여기서 단세포는 몸이 한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 다세포는 몸이 두 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을 말해요. 또 원생생물계는 기관이 잘 발달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죠. 아메바, 짚신벌레, 다시마, 미역, 김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이야기 할 계는 균계인데요, 균계는 버섯과 곰팡이 등과 같이 운동성이 없고, 광합성을 하지 못하는 생물 무리에요. 균계와 나머지 계들을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은 균사의 유무인데요, 균계는 균사를 가지고 있는 유일한 계랍니다. 버섯과 곰팡이의 몸이 바로 실 모양의 균사가 얽혀있는 구조에요. 균계에 속한 생물들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 수 없고(광합성을 하지 못한다는 거에요.), 대부분 죽은 생물의 몸을 분해하여 양분을 얻는데요, 버섯과 곰팡이 등이 균계에 포함됩니다.
이번 꺼는 이름을 들으면 다들 감이 오실 것 같은데요, 식물계입니다. 식물계는 다세포 생물인데요, 세포에 세포벽이 있고, 광합성을 해서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게 특징이에요. 또한 대부분이 뿌리, 줄기, 잎과 같은 기관이 발달하였는데, 진달래, 소나무, 쇠뜨기, 고사리, 우산 이끼 등 식물들을 예로 들 수가 있답니다.
마지막으로 동물계가 있는데요, 이것도 이름을 들으니까 감이 잡히시죠? 동물계는 식물계 처럼 다세포 생물이고 몸의 기관이 발달해 있어요. 하지만 세포벽이 있고 운동성이 없는 식물계와 달리 동물계는 세포에 세포벽이 없고 운동성이 있어요. 또 식물계는 양분을 스스로 만들어내지만 동물계는 다른 생물을 먹이로 삼아 양분을 얻어요. 불가사리, 달팽이, 말, 나비, 해면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자 오늘 준비한 이야기는 여기서 끝이에요 ><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여러분은 똑똑하니까 잘 이해하셨을 거에요!! 혹시 궁금하신 점이나 느낀 점, 이 외에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시면 모두 모두 댓글로~!!
그럼 채니는 다음 주에 돌아오겠습니다!!! 안뇽!!!
참고자료- 비상교육 완자, 두산백과
'즐거운 과학 여행 1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입자의 운동 (4) | 2019.06.11 |
---|---|
17. 생물 다양성의 보전 (9) | 2019.06.04 |
15. 생물 다양성 (4) | 2019.05.21 |
14. 마찰력과 부력 - 부력 (7) | 2019.05.14 |
13. 마찰력과 부력 - 마찰력 (4) | 2019.05.07 |
- Total
- Today
- Yesterday